공사용 화물 엘리베이터가 올라가는 사이 석재(石材)나 장비를 옮기는 인부들이 분주히 타고 내렸다. 안전모를 쓰고 작업 벨트를 찬 극장장은 "요즘은 공연장에 쓸 석재를 공부 중"이라고 했다. 그의 입에서 허옇게 입김이 뿜어져 나왔다.
지난 10일 오후 서울 신도림의 대성디큐브아트센터 공사 현장. 9층에서 내리자 뮤지컬 전용극장다운 골격이 눈에 들어왔다. 하부구조물이 들어와야 할 무대 쪽은 텅 빈 채 H빔이 노출돼 있었지만 1~2층 객석 공사는 마무리된 상태였다. 2층 맨 뒷좌석부터 무대까지 거리가 28m로 가까웠다. 이따금 용접 불꽃이 튀는 공연장에서는 이날 소음·진동 테스트가 진행 중이었다. 로비 쪽으로 나가자 지하철 1호선 신도림역으로 들어오는 열차가 내려다보였다. 철로 건너편엔 한국문화예술위원회 건물이 있었다.
오는 8월 말 개관하는 이 공연장의 극장장은 서울 예술의전당 공채 1기 출신인 고희경(47)씨다. 국내 대형 공연장에서 말단부터 경험을 쌓아 올라온 여성 극장장이 탄생한 것은 처음이다. 예술의전당에서 '11시 콘서트', '토월 정통연극 시리즈' 같은 히트 상품을 기획한 그는 "신도림이라는 미개척지에서 전혀 새로운 관객을 만나고 싶었다"고 말했다.
"예술의전당도 처음엔 '그 산속에서 공연은 무슨…' 하는 얘기를 들었어요. 하지만 영국 바비칸센터, 미국 링컨센터 같은 세계적인 공연장의 프로그램과 트렌드에 주파수를 맞췄고 어느 정도 궤도에 올려놓았습니다. 그런 뒤 정체됐다는 느낌을 갖고 있는데 제안을 받았습니다. 다들 신도림을 '문화의 오지(奧地)'라고 하니까 더 욕심나던데요?"
이곳으로 이직한 2009년 10월, 공연장 설계도를 보고 그는 경악했다. 여느 문예회관 같은 '붕어빵 설계'였기 때문이다. 고 극장장은 "잘못 만든 옷에 몸을 맞춰야 하는 꼴이라, 다시 손을 대야 했다"면서 "공연장 전문가들에게 자문했고 꼭 필요한 설비나 자재를 찾아 해외출장을 숱하게 다녔다"고 했다. 객석 의자도 일본의 공장까지 가서 직접 앉아보고 골랐다.
---이하 생략---
원문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1/12/2011011202405.html
박돈규 기자 coeur@chosun.com
Copyright (c) chosun.com All rights reserved.

댓글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