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진국 달랏大 교수… 90년대 제2의 인생 살고자 '해외 화훼 최적지'로 택해
이웃들, 선진 농법 배워가 年4차례 수확… 부유해져… 신품종 개발·수출도 도와
베트남 남부 휴양도시 달랏(Da Lat) 사람들은 김진국(金振國·75) 교수를 '파파'라고 부른다. 베트남 명문 달랏대학교의 레바�X(Le Ba Dung) 총장도 "나는 파파가 둘이다. 한 분은 나를 낳아주신 아버지고 다른 한 분은 파파 킴이다"고 말한다. 총장뿐만 아니라 동양학부 교수들도, 대학생들도 그를 보면 "파파"라고 부른다.
대구효성여대에서 화훼장식학을 가르치던 그는 1990년대 초반 '제2의 정착지'를 찾아 동남아 10개국을 2년간 돌다가 1994년 달랏을 찾았다. 현지 관공서와 담판을 지어 산비탈 돌산 개간을 허가받았다. 움막을 짓고 삽과 괭이로 바위를 깨고 돌을 날랐다. 8년 동안 어깨가 으스러지고 손바닥이 까지는 험난한 작업으로 5000평을 계단식 밭으로 개간했다.
첫해 한국에서 가져다 심은 난(蘭)과 장미 2만주는 대부분 도둑맞았다. 다음해엔 비닐하우스를 세우고 안개꽃을 심었다. 해발 1500~1700m 고랭지라 품질이 최고였고, 5~11월 우기(雨期)에도 비닐하우스 '비 가림 재배'로 연중 생산하면서 대박을 터뜨렸다. 1년에 한두 번만 수확하던 현지인들은 연간 네 차례나 수확하는 김 교수를 보고 따라 했다. 해가 갈수록 비닐하우스가 달랏의 들판을 채웠고, '비닐하우스 바다'는 달랏의 상징이 됐다. 밤에는 비닐하우스 불빛으로 장관을 이루었다. 전깃불로 꽃들의 개화기를 조절하는 선진 농법이 보급된 것이다.
---이하 중략---
원문보기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1/01/14/2011011402274.html
달랏(베트남)=이항수 특파원 hangsu@chosun.com
Copyright ⓒ 조선일보 & Chosun.com

댓글
첫번째 댓글을 남겨주세요.